▣ 범위관리_작업분류체계(WBS) 작성, 범위 확인, 범위 정의, 범위기준선, PMBOK 6th, 작업기술서 SOW, 범위기술서
- 프로젝트 범위: 특정 특색과 기능의 제품, 서비스, 결과물 등을 인도(deliver)하기 위해 수행하는 작업, 프로젝트 계획에 따라 결정됨. 또한 프로젝트 범위 종결은 프로젝트 관리계획서에 입각해서 결정됨
- 제품 범위: 제품, 서비스, 결과물 등을 특징짓는 특색과 기능으로 프로젝트 요구사항에 따라 결정됨. 또한 제품 범위의 종결은 제품 요구사항에 입각해서 결정됨
범위관리 계획수립 -> 요구사항 수집 -> 범위 정의 -> WBS 작성 -> 범위확인 -> 범위 통제
*암기 범요정
5.1 범위관리 계획 수립
5.2 요구사항 수집
5.3 범위 정의
프로젝트와 제품에 대한 구체적인 세부 설명을 개발하는 단계로 제품, 서비스 또는 결과물의 경계와 승인기준(acceptance criteria)을 설명
■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 프로젝트 인도물과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기술하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간의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제공함
-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관리하기 위해 명시적인 범위 제외를 포함할 수 있음
- 프로젝트 팀이 좀 더 상세한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 중에 프로젝트 팀의 작업을 인도하고 변경 요청 또는 추가 작업이 프로젝트 경계 안에 있는지 아닌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선을 제공함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에 포함되는 내용
제품범위 서술 | 요구사항 문서에 서술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의 특성 |
제품인수 기준 | 완성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의 인수 프로세스와 인수기준 |
프로젝트 인도물 | 프로젝트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산출물 및 프로젝트 관리보고서와 같은 부차적인 결과물 |
프로젝트 제외물 | 프로젝트로부터 어떤 것이 제외되어 있는지 정의 |
프로젝트 제약사항 | 프로젝트팀의 옵션을 제한하는 특정한 프로젝트 제약을 열거하고 설명 |
프로젝트 가정 | 프로젝트 범위와 연관된 구체적인 프로젝트 가정들과 그러한 가정이 옳지 않다고 판명될 경우 발생 가능한 영향을 열거하고 설명 |
5.4 작업분류체계(WBS) 작성
프로젝트 인도물과 프로젝트 작업을 더 작고 관리하기 쉬운 하위단계인 작업패키지(Work Package)로 세분화하는 단계
작업분류체계를 일컫는 WBS(Work breakdown structure)는 이름 그대로 작업을 분류해 놓은 체계인데,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해 수행할 전체 작업의 범위를 세분한 수직적 계층토
WBS는 프로젝트 범위를 쪼개고 또 쪼개어 가능한 가장 작은 작업(작업패키지)까지 분할하여 도식화한 문서
■ 범위기준선
범위기준선은 3대 기준선(범위, 일정, 원가) 중 하나로 프로젝트 관리 시 각종 판단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문서
①승인된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버전
②승인된 WBS
③WBS 사전
'승인된' 버전인 것이 중요한 이유는, 범위기준선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변경통제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
더 이상 쪼갤 수 없는 가장 작은 활동 단위인데 바로 ‘작업패키지’
이 때 각 작업패키지는 1개의 통제 계정(Control Accounts)와 연결되어야 함
통제 계정은 작업의 범위, 일정, 원가 등을 계획하고 관리하기 위한 것
통제 계정은 하나 이상의 기획 패키지(Planing Package)를 포함할 수 있음
통제 계정의 구성 요소 중 작업패키지 수준까지 분할하지 못한 작업(without detailed schedule activities)을 기획 패키지라고 하는데 이후 프로젝트가 진행되면 작업패키지로 분할
작업패키지 앞에는 1-1, 1-2 등과 같은 숫자가 붙어있는데 작업분류체계 코드(WBS ID)라고 하며 각 작업을 넘버링하기 위해 사용됨
5.5 범위 확인
완료된 프로젝트 인도물의 인수를 공식화하는 프로세스
5.6 범위 통제
범위통제는 범위 기준선에 대한 변경을 관리하는 것임
■ 작업기술서(SOW, Statement of Work)
프로젝트 결과물로 제공될 예정인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양을 정의한 문서임
제안요청서(RFP)를 생각하면 됨, SOW는 계약서에 첨부되는 경우가 대부분임
비즈니스의 요구 | 외부환경, 시장수요, 기술, 법률 또는 정부 규제 등에 따른 사업적 요구사항을 기술함 |
제품범위 명세서 |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만들어야 하는 목표 제품의 사양, 특성 등을 기술함 |
전략적 계획 | 조직의 비전, 전략과 해당 프로젝트를 하는 목적, 목표를 기술함 |
2016년 7번
정답 : 4번
4)번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는 '5.2 요구사항 수집' 출력물임
PMBOK 6판 작업분류체계(WBS) 작성 입력물
1. 프로젝트 관리계획서(범위 관리 계획서)
2. 프로젝트 문서(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요구사항문서)
3. 기업 환경 요인
4. 조직 프로세스 자산
2017년 24번
정답 : 3번
2020년 17번
정답 : 4번
범위기준선은 3대 기준선(범위, 일정, 원가) 중 하나로 프로젝트 관리 시 각종 판단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문서
①승인된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버전
②승인된 WBS
③WBS 사전
'승인된' 버전인 것이 중요한 이유는, 범위기준선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변경통제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
2011년 13번
정답 : 2번
WBS가지고 일정계획을 세우는 것임
2011년 19번
정답 : 2번
계약사항은 작업기술서(Statement Of Work, SOW)에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 문서로 작성됨
SOW가 계약서의 부속문서로서 포함됨
SOW는 프로젝트 결과물로 제공될 예정인 제품 또는 서비스의 사양을 정의한 문서임
제안요청서(RFP)를 생각하면 됨, SOW는 계약서에 첨부되는 경우가 대부분임
비즈니스의 요구 | 외부환경, 시장수요, 기술, 법률 또는 정부 규제 등에 따른 사업적 요구사항을 기술함 |
제품범위 명세서 |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만들어야 하는 목표 제품의 사양, 특성 등을 기술함 |
전략적 계획 | 조직의 비전, 전략과 해당 프로젝트를 하는 목적, 목표를 기술함 |
2012년 18번
정답 : 3번
WBS식별자는 최하위 단계인 작업패키지에만 부여하지 않음
WBS는 계층적으로 되어 있는데 모든 단계에 식별자를 부여함
식별자는 보통 1.1.1.2와 같이 계층적으로 부여됨
2013년 24번
정답 : 3번
품질통제는 인도물의 품질 요구사항을 충족시켰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것임
범위검증은 고객이 인도물이 수용할 만큼 만족스러운 수준인지 평가하는 것임
3)번은 품질 통제에 해당하는 내용임
2014년 16번
정답 : 3번
3)번 프로젝트 팀 주요 구성원, 책임 및 권한 수준 규정은 사업수행계획서에서 정의함
■ 프로젝트 범위기술서
- 프로젝트 인도물과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작업을 기술하며 프로젝트 이해관계자들간의 프로젝트 범위에 대한 공통적인 이해를 제공함
- 이해관계자의 기대를 관리하기 위해 명시적인 범위 제외를 포함할 수 있음
- 프로젝트 팀이 좀 더 상세한 계획을 수립하고 수행 중에 프로젝트 팀의 작업을 인도하고 변경 요청 또는 추가 작업이 프로젝트 경계 안에 있는지 아닌지를 평가하기 위한 기준선을 제공함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에 포함되는 내용
제품범위 서술 | 요구사항 문서에 서술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의 특성 |
제품인수 기준 | 완성된 제품, 서비스, 결과물의 인수 프로세스와 인수기준 |
프로젝트 인도물 | 프로젝트의 제품 또는 서비스를 구성하는 산출물 및 프로젝트 관리보고서와 같은 부차적인 결과물 |
프로젝트 제외물 | 프로젝트로부터 어떤 것이 제외되어 있는지 정의 |
프로젝트 제약사항 | 프로젝트팀의 옵션을 제한하는 특정한 프로젝트 제약을 열거하고 설명 |
프로젝트 가정 | 프로젝트 범위와 연관된 구체적인 프로젝트 가정들과 그러한 가정이 옳지 않다고 판명될 경우 발생 가능한 영향을 열거하고 설명 |
2015년 3번
정답 : 4번
범위관리는 계획수립 -> 요구사항 수집 -> 범위 정의 -> WBS 작성 -> 범위 확인 -> 범위 통제의 프로세스로 진행됨
암기 : 범요정
'사업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범위관리_요구사항 관리, 요구사항 문서, 도구와 기법, 공동 작업 형태, 동료검토, JAD (0) | 2021.09.12 |
---|---|
자원관리_프로젝트 조직_직무설계, 직무단순화, 직무확대, 직무충실화, 직무순환 (0) | 2021.09.04 |
시간관리_일정개발_주공정 경로(Critical-Path) CPM (0) | 2021.09.04 |
자원관리_프로젝트팀 관리_갈등관리, 갈등해결 (0) | 2021.09.04 |
품질관리_품질비용 적합, 비적합, 부적합(실패), 예방, 평가, 내부 실패, 외부 실패비용 (0) | 2021.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