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달관리_공급자선정(확정가계약, 원가정산계약, 시간자재계약)
① 확정가 계약 (Fixed Price Contract) 고정가 계약 |
제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이미 설정된 고정가 총액으로 계약하는 방식 사업규모를 예측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경우 사용 구매자(발주자)가 선호함 |
|
FFP(Firm Fixed Price) (확정 고정가 계약) Turn-Key 계약으로 불림 |
- 가장 일반적인 계약 유형이며, 착수단계에서 가격 설정 - 계약 가격이 유지되기 때문에 작업 범위의 변경 불가 (∴ 구매 조직이 선호, 공급자 입장에서는 원가 추정에 가장 유의해야 함) - 성과 미달로 인한 원가 상승은 공급자 책임 - 계약시 합의된 확정금액, 업무 범위가 명확할 때 적용, 공급자 위험부담이 가장 높음 |
|
FPIF(Fixed Price Incentive Fee) (성과급 가산 고정가 계약) |
- 확정금액+성과급(유연성 존재) - 성과급은 판매자의 원가·일정·기술적 성과와 관련 - 최대 지급금액(Ceiling Price)이 설정되며, 이 상한선을 넘는 원가는 판매자 책임 |
|
FP-EPA(Fixed Price with Economic Price Adjustment) (가격조정 조건부 고정가계약) |
- 확정금액+물가상승, 환율변동분 - 계약기간이 길고, 해당 기간 동안 물가 상승이 높게 예상되는 경우 - 고정가 계약이지만 상황 변화에 따라 최종 조정을 허용하는 특별 조항 추가 - 통제 외적 조건으로부터 쌍방 보호 |
|
② 원가정산 계약 (Cost-Reimbursable Contract) |
완료한 작업에 발생되었던 실제 원가와 공급자 수익(이윤)을 합산하여 지불하는 방식 사업규모를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모험적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사용 판매자(사업자)가 선호함 |
|
CPFF(Cost Plus Fixed Fee) (고정수수료 가산 원가계약) |
- 발생원가(Actual Cost) + 확정이익액(Fixed Fee(Profit)) - Fixed Fee는 판매자의 성과에 따라 변하지 않음 - 계약작업 수행에 허용되는 모든 비용과 초기 산정된 프로젝트 원가의 백분율로 계산된 고정 수수료 지불 - 업무 범위가 불명확할 때 |
|
CPIF(Cost Plus Incentive Fee) (성과급 가산 원가계약) |
- Actual Cost + 확정이익액 + Inventive(해당시) - 성과 목표를 달성한 경우에 대해 사전 정의된 성과급 지급 - 업무범위가 불명확할 때, 원가절감으로 인한 이익을 수요자/공급자가 공유 |
|
CPAF; Cost Plus Award Fee (보상금 가산 원가계약) |
- Actual Cost + Award Fee - Award Fee는 구매자가 주관적으로 판단하는 판매자 성과를 기초로, 구매자의 기준을 충족시켰을 때 지불 - 기본적으로는 원가정산이지만 Award Fee는 사전 협상한 원가부담 공식으로 분담 - 이익은 업무 완료 후 수용자가 평가하여 지급, 공급자가 관여하는 대상 아님 |
|
CPPC(Cost Plus Percentage of Cost contracts) (보상금 가산 원가계약) |
- 발생원가 + 확정 이익률 - 업무범위가 불명확할 때, 비영리기관과 계약 시 적용, 수요자 위험부담이 가장 높음 |
|
③ 시간자재 계약 | T&M(Time and Material contracts) (시간자재 계약) |
- 원가정산계약 + 확정가계약의 혼합 형태 (단위 물량 단가 확정 - 확정가 계약, 전체 물량 미확정 : 원가 정산 계약) - 긴급하게 계약을 체결해야 하는 경우나 프로젝트 규모가 작을 때 적용 |
▣ 조달관리 계획 수립
투입물 | 도구 및 기법 | 산출물 |
1) 프로젝트 헌장(Project Charter) 2) 비즈니스 문서(Business Documents) - 비즈니스 케어(Business Case) - 혜택관리 계획서(Benefit Management Plan) 3)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Project Management Plan) - 범위 관리 계획서 - 품질 관리 계획서 - 자원 관리 계획서 - 범위 기준선 4) 프로젝트 문서(Project Documents) - 마일스톤 목록 - 프로젝트 팀원 배정 - 요구사항 문서 -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 리스크 등록부 - 이해관계자 등록부 - 자원 요구사항 5) 기업 환경 요인(EEF) 6) 조직 프로세스 자산(OPA) |
1) 전문가 판단(Expert Judgement) 2) 자료 수집 3) 자료 분석 - 제작-구매 분석(Make-or-Buy Analysis) 4) 공급자 선정 분석 - 최소 비용(Least Cost) - 자격사항(Qualifications Only) - 품질기반/기술제안 점수(Quality-based/Highest Technical Proposal Score) - 품질과 비용 기반(Quality and Cost-based) - 단독 입찰(Sole Source) - 확정 예산(Fixed Budget) 5) 회의(Meetings) |
1) 조달 관리 계획서(Procurement Management Plan) - 프로젝트 일정개발 및 통제 프로세스 등과 구매조달의 통합 방법 - 핵심 조달활동의 일정표 - 계약관리에 사용되는 조달 지표(Metrics) - 조달 관련 이해관계자들의 역할 및 책임 - 조달에 영향을 주는 가정 및 제약요인 - 독립 산정치(Independent Estimates) 사용여부와 평가기준으로서 필요 여부 - 리스크 관리 이슈 - 적격 판매자(Prequalified Seller) 2) 조달 전략(Procurement Strategy) - 인도 방법(Delivery Methods) - 계약 지불 유형(Contract Payment Types) - 조달 단계(Procurement Phases) 3) 입찰 문서(Bid Document) - 정보요청서(RFI: Request for Information) - 견적요청서(RFQ: Request for Quotation) - 제안여청서(RFP: Request for Proposal) - 입찰고지서(Tender Notices) - 입찰초대서(Invitation for Negotiation) - 협상초대서(Invitation for Negotiation) - 판매자 초기 답변을 위한 초대서(Invitation for Seller's Initial Response) 4) 조달 작업 기술서(Procurement Statement of Work) 5) 공급자 선정기준(Source Selection Criteria) - 역량 및 능력(Capability and Capacity) - 제품원가 및 생애주기 원가 - 인도일 - 기술적 전문성 및 접근법 - 전문적인 관련 경험 - 제안된 접근법의 적합성 및 SOW에 일치하는 작업계획서 - 핵심인력의 자격, 활용가능성 및 유능함 - 회사의 재무적인 안정성 - 관리 경험 - 지식이전 프로그램의 적합성 6) 제작-구매 결정사항(Make-or-Buy Decisions) 7) 독립 산정치(Independent Cost Estimates) 8) 변경 요청(Change Requests) 9) 프로젝트 문서 갱신(Project Documents Update) - 교훈 등록부 - 리스크 등록부 - 이해관계자 등록부 갱신 - 마일스톤 목록 - 요구사항 문서 - 요구사항 추적 매트리스 10) OPA 갱신(OPA Update) |
2016년 2번
정답 : 2번
고정가격 계약 : 판매자("을" 계약자)에게 원가와 이익 및 손실에 대한 모든 책임과 위험을 전가하는 계약 방식
2020년 20번
정답 : 4번
'공급자 선정기준'은 조달관리 계획 수립의 투입물(INPUT)이 아닌 산출물(OUTPUT)임
2012년 3번
정답 : 4번
완료한 작업에 발생되었던 실제 원가와 공급자 수익(이윤)을 합산하여 지불하는 방식은 원가정산 계약임
원가정산 기반의 파생계약
완료한 작업에 발생되었던 실제 원가와 공급자 수익(이윤)을 합산하여 지불하는 방식
사업규모를 정확히 정의할 수 없는 모험적 대규모 프로젝트의 경우 사용 판매자(사업자)가 선호함
'사업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원관리_프로젝트 조직_직무설계, 직무단순화, 직무확대, 직무충실화, 직무순환 (0) | 2021.09.04 |
---|---|
범위관리_작업분류체계(WBS), 범위 확인, 범위 정의, 범위기준선, PMBOK 6th, 작업기술서 SOW, 범위기술서 (0) | 2021.09.04 |
시간관리_일정개발_주공정 경로(Critical-Path) CPM (0) | 2021.09.04 |
자원관리_프로젝트팀 관리_갈등관리, 갈등해결 (0) | 2021.09.04 |
품질관리_품질비용 적합, 비적합, 부적합(실패), 예방, 평가, 내부 실패, 외부 실패비용 (0) | 2021.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