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네트워크 구조_무선랜 다중화 기술 FHSS, DSSS, OFDM, TDMA
주파수 도약 방식 (Frequency Hopping Spread Spectrum, FHSS)
출발지 신호(입력 신호)에 의해 변조된 N개의 다른 반송 주파수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유효한 통신 대역폭(링크)을 N개의 주파수 슬롯으로 분할하여 전송할 때가 되면 일부 유효 슬롯을 통해 정보를 전송
직접 확산 방식 (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
입력 신호에 주파수가 높은 디지털 신호(확산 코드)를 곱(XOR)하여 대역폭을 확산시키는 방식
OFDM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고속의 송신 신호를 수백개 이상의 직교(Orthogonal)하는 협대역 부 반송파(Subcarrier)로 변조시켜 다중화하는 방식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TDM(Time Division Multiplexing)
주파수를 고정시키고, 시간만을 분할하여 각각의 채널로 사용하는 방식
구분 | FDMA | TDMA | CDMA |
개념 | ![]() |
![]() |
![]() |
채널간섭해소 | Guard Band | Guard Time | 전력제어 |
Cell 분할계수 | 7 | 4 | 1 |
채널분리 | BPF | Time Gate | PN Code |
용도 | Analog 음성 | Digital 음성, 데이터 | Digital 음성, 데이터 |
활용 | AMPS | GSM | IS-95 |
2013년 76번
정답 : 4번, 모두 정답처리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도 무선랜의 다중화 기술로 실제 사용되고 있음
*다중화 기술에 대해서만 정확히 이해 필요
'시스템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안드로이드(Android)_4대 구성요소, 액티비티, 서비스, 방송수신자, 콘텐트 제공자, 지속 애플리케이션 데이터 (0) | 2021.12.16 |
---|---|
네트워크_VoIP (0) | 2021.12.16 |
클라우드_오픈스택(openstack), Horizon, Nova, Neutron, Swift, Cinder, Keystone, Glance (0) | 2021.11.23 |
앙상블(Ensemble) 기법과 보팅(Voting), 배깅(Bagging), 부스팅(Boosting), 스태킹(Stacking) (0) | 2021.11.20 |
SDN (Software Defined Networking), NFV, 노스, 사우스 바운드, 오픈플로우, 오버레이 (0) | 2021.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