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프트웨어공학

요구사항명세_정형, 비정형, Z명세, VDM, Z, Petri-net, FSM, Decison Table, ER모델링, 관계형, 상태위주 표기법

스윙스윙 2021. 12. 2. 20:51

▣ 요구사항명세_정형, 비정형, Z명세, VDM, Z, Petri-net, FSM, Decison Table, ER모델링, 관계형, 상태위주 표기법

 - 요구사항 명세는 분석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모델을 작성하고 문서화하는 것을 의미

 - 기능 요구사항을 빠짐없이 기술

 - 비기능 요구사항을 필요한 것만 기술

 - 구체적인 명세를 위해 소단위 명세서(Mini-Spec)가 사용될 수 있음

 

구분 정형 명세 기법 비정형 명세 기법
기법 수학적 원리 기반, 모델 기반 상태/기능/객체 중심
작성기법 수학적 기호, 정형화된 표기법 일반 명사, 동사 등의 자연어를 기반으로 서술 또는 다이어그램으로 작성
특징 - 요구사항을 정확하고 간결하게 표현 가능
- 요구사항에 대한 결과가 작성자에 관계없이 일관성이 있으므로 완전성 검증이 가능함
- 표기법이 어려워 사용자가 이해하기 어려움
- 자연어의 사용으로 인해 요구사항에 대한 결과가 작성자에 따라 다를 수 있어 일관성이 떨어지고, 해석이 달라질 수 있음
- 내용의 이해가 쉬어 의사소통이 용이함
종류 VDM, Z, Petri-net, CSP 등 FSM, Decision Table, ER 모델링, State Chart(SADT) 등

 

Z • 집합론(Set Theory), 논리, 모델기반 명세기법
• 논리를 기반으로 한 Calculus 적 표현을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VDM보다 함축적으로 표현
• 모든 특성을 스키마안에 순서대로 기술하며 모듈화와 재사용성이 우수함
• Z스키마 구조 - 스키마 이름, 스키마 시그니쳐, 스키마 술어
• 모듈간의 재사용성이 우수
• 스키마간의 연산이 가능
VDM Vienna Development Method
• 시스템의 비기능적인 요구사항을 제외한 기능적인 요구사항에만 한정되며 이와 관련한 기능 요구 명세와 검증 설계에 관해 적절한 표기법인 검증 방법을 제공함
Petri Net 그래프에 의한 표기법을 제공하며, 병렬 처리를 기술할 때 유한상태기계의 한계성을 극복하도록 고안

Decision Table 
(판단표)
• 문제를 분석할 경우에 생각할 수 있는 복잡한 모든 조건과 각 조건에 대하여 취해야 할 행동을 열거한 표.
업무 기계화를 시작할 때, 업무 분석 기술 방법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조건과 그 결과를 가로 세로로 표에 명기하여 상호 관계를 표로 표시함으로써 처리 법칙을 에러 없이 기술 하도록 하는 것
Event Table
(사건표)
• 여러 사건이 상이한 조건하에서 발생되었을 때 취해야 할 행위를 기술
Transition Table (전이표) • 시스템내의 상태변화를 기술하는데 사용됨
finite state machine 
(유한상태기계)
FSM
• 컴퓨터 프로그램과 전자논리회로를 설계하는데에 쓰이는 수학적 모델
• 유한한 개수의 상태로 구성된 하나의 기계를 의미
• 일종의 Flow chart 로서 조금 다른 점은 닫혀있다는 것 
  즉 모든 게임은 단발로 끝나는게 아니라 영원히 도는 프로그램임

 


2011년 36번

정답 : 4번

Z명세

• 집합론(Set Theory), 논리, 모델기반 명세기법
• 논리를 기반으로 한 Calculus 적 표현을 사용하여 여러 특성을 VDM보다 함축적으로 표현
• 모든 특성을 스키마안에 순서대로 기술하며 모듈화와 재사용성이 우수함
• Z스키마 구조 - 스키마 이름, 스키마 시그니쳐, 스키마 술어
• 모듈간의 재사용성이 우수
• 스키마간의 연산이 가능

 


2011년 46번

정답 : 2번

정형명세 방법은 대수학적인 방법과 상태모형 기반 방법이 있음

대수학적인 방법은 Lotos임

대수학적 방법 연산과 연산의 관계에 의해 명세를 표현함
Lotos, OBJ, Larch
상태(모형)기반 방법 집합과 수열 등의 표현을 이용해 시스템의 상태를 표현함
CSP, Petri-Net, Z, VDM, B

 


2017년 41번

정답 : 1번

recurrence relation(점화 관계)는 일반적으로 재귀적 호출관계를 표현할 때 사용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