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함수종속, 정규화_무손실 조인 분해(lossless-Join decomposition)
- 무손실 조인 분해는 하나의 릴레이션을 분해하고 다시 조인연산을 했을 때 데이터 손실이 없는 것을 뜻함
- R = (A, B, C)에서 R1 = (A, B), R2 = (B, C) 으로 분해 했을 때,
R1 ∩ R2 가 R1 또는 R2 의 키이면 무손실 분해이다.
R1 ∩ R2 ={B} 이고, B는 R2의 키 이므로 무손실 분해이다.
- R = (A, B, C)
F = {A → B, B → C)에서 R1 = (A, B), R2 = (B, C) 으로 분해 했을 때 무손실 분해이며,
종속성 보존이 된다.
구분 | 릴레이션 분해 | 무손실 분해 여부 |
분해 1 | 특강수강(학생번호, 특강이름, 교수) → R1(학생번호, 교수), R2(교수, 특강이름) |
R1과 R2의 공통 속성은 교수이며, 교수는 R2의 키이다. → 무손실 분해 규칙을 만족 |
분해 2 | 특강수강(학생번호, 특강이름, 교수) → R3(학생번호, 특강이름), R2(교수, 특강이름) |
R3와 R4의 공통 속성은 특강이름이지만, 특강이름은 R3나 R4의 키가 아니다. → 무손실 분해 규칙을 만족하지 않음 |
■ 정규화 정의/원리
데이터 이상현상(anomaly)을 야기하는 속성 간의 종속성(dependency) 분석해서 하나의 릴레이션에는
기본적으로 하나의 종속성이 표현되도록 분해(decomposition)하는 과정
정규화의 원리
- 분리의 원칙(principle of separation) : 하나의 독립된 관계성은 별도의 릴레이션으로 분리시켜 표현
- 정보 표현의 무손실(nonloss representation of information) : 변환된 스키마가 표현하는 정보는 변환되기 전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어야 함
- 최소의 데이터 중복(minimal data redundancy) : 중복으로 인한 여러가지 이상현상이 제거 되어야 함
2018년 56번
정답 : 2번
하나의 릴레이션 R을 R1, R2로분해하고 다시 조인연산을 했을 때 데이터 손실이 없는 상태
무손실 조인분해를 만족하려면 R1 ∩ R2 → R1 이나 R1 ∩ R2 → R2 중 하나를 만족
(두 릴레이션의 공통 속성이 R1, R2 중 하나의 키를 포함해야 함)
R1(A, B, C), R2(C, D) 의 공통속성인 C는 C→D 이므로 R2의 키를 포함하고 있다.
2021년 74번
정답 : 2번
1번, 4번은 정규화의 원리에 따라 맞음
3번은 R1 ∩ R2과 R1과 R2의 공통 속성이고 두 릴레이션이
참조 관계에 있는 속성이므로, 두 릴레이션 중 하나의 기본키가 되어야 함
기본키는 수퍼키가 될 수 있음
기본키가 R1인지 R2인지는 문제 지문내용으로 구분할 수 없기 때문에 틀린설명은 아님
2번은 R1 ∩ R2 -> R1과 R1 ∩ R2 -> R2를 동시에 만족한다는 것은 공통 속성 R1 ∩ R2 가 분해한 두 릴레이션 R1과 R2의 기본키여야 한다는 의미임 / 이는 정규화 원리에 맞지 않으므로 틀린 설명임 /둘 중 하나의 키본키여야 함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Ajax(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웹 개발 기법, RSS(Rich Site Summary), DOM(Document Object Model), SQL, XQUERY (0) | 2021.09.17 |
---|---|
트리거(TRIGGER), 주장(ASSERTION), 인덱스, 메타데이터, 저장 프로시저 (0) | 2021.09.17 |
데이터베이스 설계 단계_요구분석, 개념적, 논리적, 물리적, 구현, 보안 (0) | 2021.09.16 |
GROUP BY, HAVING SQL 예제 4, 3명 이상의 사원이 근무하는 부서에서 연봉이 4만불 이상 사원수 검색 (0) | 2021.09.11 |
구글(Google)의 PageRank 알고리즘 (0) | 2021.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