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E-R 모델, 확장 ER 제약 조건_분리 제약, 완전 제약, exclusive, disjoint, joint, overlap, total, partial, EER(Enhanced ER) 다이어그램, 수퍼타입, 서브타입
분리제약 | 완전제약 | ||
배타 (Exclusive, disjoint) |
중복 (joint, overlap) |
전체 (Total) |
부분 (Partial) |
서브 타입간 중복 허용 여부로 구분 직원 -> 정규직, 계약직(배타) 직원 -> 본사근무자, 장기근속자(중복가능) |
서브타입 엔티티가 모두 존재하면 전체, 일부 서브타입은 엔티티가 없으면 부분 |
2013년 60번

정답 : 2번
EMPLOYEE의 한 인스턴스는 이 세분화에서 최대 1개의 서브클래스에만 속할수 있음 -> disjoint (베타)
어느 서브클래스에도 속하지 않는 EMPLOYEE 인스턴스도 존재할 수 있음 -> Partial (부분)
분리 제약 : disjoint, 완전 제약 : partial
분리제약 | 완전제약 | ||
배타 (Exclusive, disjoint) |
중복 (joint, overlap) |
전체 (Total) |
부분 (Partial) |
서브 타입간 중복 허용 여부로 구분 직원 -> 정규직, 계약직(배타) 직원 -> 본사근무자, 장기근속자(중복가능) |
서브타입 엔티티가 모두 존재하면 전체, 일부 서브타입은 엔티티가 없으면 부분 |

분리 제약 : overlap, 완전 제약 : partial

PERSON은 분리제약(disjointness constraint)이 분리(disjoint)이므로 FACULTY이면서 동시
에 STUDENT인 개체가 존재할 수 없음. 그리고, 완전제약(completeness constraint)이 부
분(partial)이므로, FACULTY와 STUDENT 서브타입 외에 다른 개체가 존재할 수 있음
2019년 61번

정답 : 1번, 2번
분리 제약 : overlap, 완전 제약 : total
A는 분리제약이 중첩이므로 B이면서 동시에 C인 개체가 존재
완전제약이 전체이므로, B와 C서브타입 외에 다른 개체가 존재할 수 없음
A의 한 개체는 반드시 B또는 C서브타입에 존재해야 함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회복과 동시성 제어_즉시갱신, 지연 갱신 회복 기법, 그림자 페이징 shadow (0) | 2021.08.25 |
---|---|
논리 모델링_함수적 종속성(FD : Functional Dependency) 폐포(Closure) 후보키, 커버(Cover), BCNF, 정규화 (0) | 2021.08.24 |
E-R모델링 연결함정(Connection Trap) Fan Trap, Chasm Trap, N:1:1:N, 1:N:1:N (0) | 2021.08.22 |
이진트리 순회(Binary Tree Traversal)_전위, 중위, 후위 (0) | 2021.08.22 |
JDBC를 사용하는 API (0) | 2021.08.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