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컴퓨터 구조_버스_동기식, 비기동식
■ 버스(BUS)
입출력 장치(I/O devices) ,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s) 등과 프로세서(Processor), 메모리(Memory) 간 공유 데이터 전송 통로

구분 | 종류 | 설명 |
데이터 종류에 따른 분류 |
제어 버스 | - CPU와 기억장치 및 I/O 장치 사이에 제어 신호들을 전송하는 라인(Line)의 집합 |
데이터 버스 | - 디바이스 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라인(Line)의 집합. 양방향 통신 | |
주소 버스 | - CPU와 기억장치 간 데이터 읽기/쓰기 동작 시, 해당 기억장소를 지정하는 주소를 전송하기 위한 라인(Line)의 집합 | |
동기화에 따른 분류 |
동기식 버스 (synchronous bus) |
- BUS가 클록(clock)을 가지고 있으며 clock에 맞추어 정해진 통신 프로토콜 사용 (I2C 등) - 프로세서-메모리 버스와 같은 짧은 버스에 적합 - 클럭주기보다 짧은 버스 동작의 경우에도 다음 주기가 시작될 때 까지 대기 |
비동기식 버스 (asynchronous bus) |
-송신측(sender)와 수신측(receiver) 모두 동의할 때만 다음 단계로 진행하는 일련의 처리 과정인 핸드쉐이킹 프로토콜(handshaking protocol)을 사용. (UART 등), 동기식 버스에서와 같이 낭비되는 시간이 없음 - 핸드쉐이킹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추가적인 제어선(control lines)이 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느림 - 시그널 에지로 표시된 이벤트가 버스를 통해 전파되기 때문에 버스 지연시간이 길어짐 |
■ 버스클록, 버스 대역폭
버스클록 50MHz이면, 1초당 50M번 전송
버스폭이 32비트이면 한번 전송될 때 32비트 = 4바이트 전송
1초당 전소오디는 바이트수는 50M * 4바이트 = 200M 바이트
2018년 77번

정답 : 3번
비동기식 버스는 클럭 타이밍에 의존적이지 않으므로 제어신호 길이는 가변적이다.


2020년 95번

정답 : 3번
버스클록 50MHz이면, 1초당 50M번 전송
버스폭이 32비트이면 한번 전송될 때 32비트 = 4바이트 전송
1초당 전송되는 바이트수는 50M * 4바이트 = 200M 바이트
'시스템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링크 계층_무선랜_IEEE 802.11 규격 ad, WiFi, MIMO, WiGig (0) | 2021.09.27 |
---|---|
가용성_성능계산_활성사용자, 동시사용자, TPS, 응답시간, 요청간격, 가동률, 직렬, 병렬 (0) | 2021.09.27 |
벤치마크_TPC-E 주식 거래 사이트, tps, TPC-C 양판점, 도매상, tpmC, SPEC (0) | 2021.09.27 |
RAID(Redundant Arrary of Inexpensive Disk) (0) | 2021.09.18 |
가상화_클라우드 프라이빗, 퍼블릭, SaaS, PaaS, IaaS, 스케일 업, 스케일 아웃, FaaS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