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랜잭션_로킹 기법의 로크(LOCK) 단위_오버헤드, 동시성
- 로킹은 데이터베이스 병행 제어를 위해 트랜잭션(transaction)이 접근하고자 하는
데이터를 잠가(lock) 다른 트랜잭션이 접근하지 못하도록 하는 병행 제어 기법
로킹 단위가 크면 -> 로크의 수가 적어진다. -> 제어 기법이 간단해 진다. -> 병행성이 감소한다.
로킹 단위가 작으면 -> 로크의 수가 많아진다. -> 제어 하기 까다롭다. -> 병행성이 증가한다.
로킹 단위 |
로크의 수 | 병행 제어 | 로킹 오버헤드 | 병행성 수준 |
데이터베이스 공유도 (동시성 정도) |
커짐 | 적어짐 | 단순 | 감소 | 감소 | 감소 |
작아짐 | 많아짐 | 복잡 | 증가 | 증가 | 증가 |

2018년 75번

정답 : 1번
Lock단위가 작아지면 로킹 오버헤드 증가하지만 데이터베이스 공유도(동시성)는 높아진다.(Trade Off 관계)
2012년 60번

정답 : 2번, 3번
로킹 단위가 작을수록 구현이 복잡해지고 강력한 동시성을 제공함
로킹 단위가 클수록 약한 동시성을 제공하여 충돌이 많이 발생하는 반면, 구현이 용이함
'데이터베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데이터마이닝_확률기반 기계학습_나이브 베이즈(Naïve Bayes Classification), 나이브 베이지안 분류 (2) | 2021.10.01 |
---|---|
SQL_조작연산_무결성 제약 조건, 도메인, 키, 기본키 엔티티 무결성, 외래키, 참조 무결성 제약조건, ON DELETE UPDATE CASCADE RESTRICT SET NULL DEFAULT (0) | 2021.10.01 |
질의 최적화 기법_옵티마이저(Optimizer), CBO, RBO (0) | 2021.09.17 |
동적 해싱 방법_확장성 해싱(extendible hashing), 해시, hash, 충돌 해결 기법, 버킷, 모조키 (0) | 2021.09.17 |
데이터 웨어하우징(DW), 주제지향, 시계열, 비휘발성, 통합, 주시비통 (0) | 2021.09.17 |